단슬롯 너트의 형상이 풀림방지 성능에 미치는 영향
Abstract
In this study, the effect of a single-slot nut’s shape on the anti-loosening performance was investigated. The tightening characteristics of the single-slot nut were analytically estimated. Nonlinear finite element analyses were subsequently conducted for determining the tightening torque corresponding to various values of the slot depth, upper height, and bottom slope. Furthermore, the obtained numerical results were validated by employing a test-rig with a torque wrench and a washer-type load cell. It is found that compared to a normal nut, the tightening torque of the single-slot nut increases by a maximum of 20% at a given clamping force. Additionally, it is observed that the bottom slope is the dominant factor affecting tightening; increasing the bottom slope causes improvement in the tightening torque and the anti-loosening performance.
Keywords:
Single-slot nut, Anti-loosening, Tightening torque, Shape parameters, Thread contact1. 서 론
볼트와 너트는 분리되어 있는 2개 이상의 요소를 반영구적으로 체결하는 부품으로서 조립과 해체가 편리하다는 특성이 있어 초정밀 기계로부터 대형 구조물에 이르기까지 널리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체결 부위에 진동 또는 회전에 의한 동적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체결접촉 부위에서의 미끄럼 발생으로 인하여 볼트와 너트가 풀리는 현상이 초래될 수 있다[1].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볼트와 너트의 나사산에서의 접촉 마찰을 증가시키는 방식과 보조 요소를 도입하여 풀림을 억제하는 방식 등 다양한 해결 방안이 시도되고 있다. 이 중에서 너트와 볼트의 피치를 미세하게 어긋나게 하거나[2,3] 내외경에 미세한 차이를 발생시키는 방식은[4] 체결 상태에서 나사산 표면에서의 마찰력을 매우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어 널리 시도되는 방식인데 나사산 접촉 부위에서 과도한 응력의 발생과 영구 손상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허용 가능한 어긋남을 결정하는 것이 필요하며 체결 과정에서의 어려움과 재사용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반면에 피치 어긋남이 있는 이중 슬롯 너트, 하단 곡면 너트[5], 또는 분리된 상하부가 압력조절 방식으로 결합된 너트[6] 둥 너트 형상을 변화시킴으로써 과도한 응력 발생을 억제하면서도 나사산 마찰력을 중가시키는 방법들이 제시된 바 있는데 형상이 복잡해지면서 구조적 안정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한편 풀림방지를 위한 보조 요소를 추가하는 방안으로서 일반 너트와 접착력이 있는 나일론을 조합한 하이브리드 형태[7], 너트 상단에 스프링을 삽입한 형태[8], 톱니형 또는 스프링 형태의 와셔 도입한 형태[9] 등 다양한 방법이 제시되었는데 풀림 방지 성능을 개선하는 측면에서는 효과적이지만 너트 구조가 복잡해지고 내구성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풀림방지 성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단슬롯 너트를 제시하고 너트 형상이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2.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단슬롯 너트의 체결 해석
2.1 단슬롯 너트의 형상 파라미터 정의
풀림방지 성능 향상을 위한 단슬롯 너트의 기본 개념은 너트 변형을 통한 너트 나사산과 밑면에서의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Fig. 1(a)는 본 연구에서의 단슬롯 너트의 형상을 나타낸 것으로 일반 너트에 슬롯을 도입하고 하단 밑면에 경사를 둠으로써 체결 과정에서 일반 너트와 비교하여 슬롯 상단과 하단에서 큰 변형이 발생하도록 한 것이다. Fig. 1(b)는 단슬롯 너트의 형상을 정의하기 위해 필요한 파라미터를 나타낸 것으로 너트 폭 W, 직경 d, 나사산 피치 p는 M6 규격 기준으로 정하고 너트 높이 H와 슬롯 두께 t는 Table 1과 같이 상수로 하였다. 반면에 상단 높이 HU, 슬롯 깊이 DS, 밑면 경사각 θ는 본 연구에서 토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변수로서 Table 1과 같이 값을 변화시키며 해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하단 높이 HB는 Table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른 파라미터가 주어지면 그 값이 결정된다.
2.2 해석 모델링
해석 모델은 Fig.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너트, 볼트 및 체결 대상체로 구성하였으며 볼트는 슬롯이 있는 너트에 비해 z 방향의 강성이 매우 크다고 볼 수 있으므로 강체로 가정하였다. 경계 조건으로 체결 대상체는 모든 방향에 대해 구속하였으며 볼트는 축하단 중심에서의 모든 자유도를 구속하였고 너트는 회전이 구속되면서 동시에 x방향 변형이 가능하도록 슬롯 반대쪽 측면의 y방향 자유도만을 구속하였다.
하중 조건으로는 볼트의 z 방향 회전을 입력으로 하고 나사산에서 너트와의 접촉에 의한 변형과 응력을 구했으며 상용 유한요소코드 ABAQUS를 이용한 탄소성 해석을 수행하였다.
Table 2는 DS, θ 및 HU를 조합하여 구성한 해석 조건이며 Table 3은 해석에 사용된 너트 재질인 알루미늄 합금 AL7075-T651의 물성치이다[10].
2.3 단슬롯 너트의 체결 거동
Fig. 3은 단슬롯 너트의 파라미터 HU=3mm이고 DS=6.7mm로 주어진 상태에서 밑면각 θ=1°, 2°, 3°인 경우에 대해 볼트 회전에 따른 축방향 체결력과 체결 토크를 구한 해석 결과를 일반 너트와 비교 도시한 것이다.
일반 너트와 비교하여 단슬롯 너트는 볼트 회전에 따른 체결력 및 체결토크의 증가가 완만하며 θ가 커질수록 더 많은 볼트 회전이 요구된다. 또한 너트 밑면에 발생하는 수직 반력은 일반 너트가 균일한 분포로 주어지는 반면에 단슬롯 너트는 슬롯 반대 방향으로 집중되며 θ가 커질수록 그 정도가 심화되는 경향을 나타낸다. 동시에 응력 분포를 보면 일반 너트는 체결체와 접하는 하단 일부를 제외한 영역은 낮은 수준인 반면 단슬롯 너트는 슬롯 상하단과 밑면 끝단을 포함하는 넓은 영역에서 높은 응력이 발생한다. 즉 너트 변형의 증가를 통한 체결 토크의 향상이라는 단슬롯 너트의 특성을 확인할 수 있다.
3. 단슬롯 너트의 체결 토크
3.1 체결 토크에 관한 이론 고찰
Fig. 4는 볼트 체결력을 Fc라 할 때 너트에 작용하는 힘을 일반 너트와 단슬롯 너트에 대해서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Fig. 4(a)의 일반 너트의 경우 나사산에 작용하는 힘과 밑면 반력은 원주 방향으로 균일하며 그에 따른 체결 토크 TtN와 풀림 토크 TrN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1) |
(2) |
윗 식에서 λ는 리드각이고 ϕT와 ϕB는 나사산과 밑면에서의 마찰각으로서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3) |
식(3)에서 α는 나사산 각이고 μT와 μB는 나사산과 밑면에서의 마찰계수이다.
한편 Fig. 4(b)의 단슬롯 너트의 경우 슬롯 영향으로 너트 좌우측의 축방향 변형이 달라지는데 그로 인해 변형이 작은 좌측 나사산에 작용하는 축력이 우측보다 크며 밑면 반력도 좌측이 커진다. 동시에 너트 변형은 나사산 겹침을 야기하고 시계 방향으로 볼트 회전을 발생시키는데 그 결과 축 방향과 직각으로 나사산에 힘이 작용하게 된다. 좌측 나사산의 경우 나사산 겹침과 볼트 회전이 서로 상쇄하는 효과가 있어 그 힘을 무시할 수 있는 반면에 우측 나사산은 누적되며 Fig. 4(b)와 같이 ηTFC로 나타낼 수 있다. Fig. 4(b)에서 또 다른 계수 ηA, β및 γ는 모두 0.5보다 크고 1보다 작은 계수로서 이 값들이 0.5일 때 일반 너트와 같아진다.
최종적으로 단슬롯 너트의 체결 및 풀림 토크를 식(1)과 같은 형태로 구하면 아래와 같다.
(4) |
(5) |
여기서,
(6) |
식(4), (5)로부터 단슬롯 너트의 토크와 일반 토크의 차이는 ηT, ηB 및 DB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과 TtN이 증가하면 TrN도 따라서 증가하는 상관 관계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이 단슬롯 너트의 풀림방지 성능을 분석하는 데 있으므로 너트 형상 파라미터의 변화에 따른 TrN을 구해야 하고 ηT, ηB 및 DB를 수치적으로 결정해야 한다. 수치해석 관점에서 볼 때 나사산 겹침이 없는 초기 조건으로 수행하는 체결 해석이 탄소성 변형에 의한 비선형 접촉을 초기 조건으로 하는 풀림 해석에 비해 용이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체결 해석을 수행하여 식(4)의 체결 토크를 구하고 그 결과로부터 단슬롯 너트의 풀림방지 성능을 예측하였다.
3.2 너트 형상 파라미터와 체결 토크의 관계
Fig. 5는 단슬롯 너트의 체결 토크를 볼트 체결력의 변화에 대해 나타낸 것으로 일반 너트와 비교하여 도시하였으며 너트 형상 변수 별로 정리하였다. Fig. 5(a)는 Table 2의 case 2와 case 6에 대한 결과로서 슬롯 깊이 DS와 상단 높이 HU는 동일하고 밑면각 θ만 1°와 3°인 경우의 체결 토크이고 Fig 5(b), (c)는 DS와 HU의 변화에 대한 결과이다. 그 결과를 보면 단슬롯 너트의 체결 토크는 일반 너트와 비교하여 모든 해석 조건에서 상승하며 체결력 FC가 커질수록 상승 폭도 커져서 Fig. 5(a)의 Case 6의 경우 FC=7500N일 때 일반 너트와 비교하여 20.3% 상승한다. 또한 체결 토크는 슬롯 깊이 DS와 상단 높이 HU보다는 밑면 각도 θ의 변화에 대해 더 민감하게 변한다.
이러한 결과는 식(4)에서 예측한 것과 일치하며 단슬롯 너트의 토크 상승 폭이 커진다는 것은 ηT와 ηB의 값이 증가함을 의미한다. 다만 각 변수가 체결 토크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기 위해서는 너트 나사산과 밑면에서의 탄소성 거동에 대한 추가적인 고려가 필요하다.
3.3 실험 검증
앞 절의 토크 해석의 결과를 검증하기 위해 Fig. 6과 같이 토크 렌치와 와셔형 로드셀을 이용하여 실험 장치를 구성하고 case 2의 단슬롯 너트에 대하여 볼트를 회전시키면서 볼트 체결력과 토크를 측정하였다. Fig. 7은 측정 결과를 해석 결과와 비교하여 나타낸 것으로 전체 측정 구간에서 볼트 체결력의 증가분에 대한 체결 토크의 증가분의 관계가 대체로 잘 일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체결 토크의 측정 값이 해석 결과보다 약간 크게 나왔는데 오차의 원인으로는 해석 시 볼트 및 체결 대상을 강체로 가정하였으나 실험에서는 약간의 변형이 발생한 데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즉 해석에서 얻은 강체 볼트의 회전량은 변형이 발생한 실험에서의 볼트 회전량보다 크고 그 결과 Fig. 4(b)의 나사산 접촉하중의 수평 성분 ηTFC가 실험보다 작게 예측되었기 때문이다.
4. 너트 형상과 풀림방지 성능의 관계 분석
4.1 분석 개요
단슬롯 너트의 체결 토크가 일반 너트에 비해 커지는 것은 슬롯에 의한 너트 변형 증가와 그에 따른 볼트 회전에 기인하며 이러한 두 요인의 복합적인 결과로 나타나는 너트의 응력 분포를 근거하여 너트 형상이 풀림방지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수 있다.
Fig. 8은 단슬롯 너트 응력의 전형적인 분포로서 나사산 TU와 TB 그리고 밑면 끝단 BE에서 높은 응력이 발생한다. TU는 체결력 ηAFC와 볼트 회전에 의한 축방향 하중이 가중되어 나사산 뿌리 부분에서 높은 굽힘응력이 발생한다. 반면 TB에서는 너트 하단의 변형과 볼트 회전에 의한 효과가 더해져서 나사산에 작용하는 수평 하중 ηTFC이 크게 작용하여 나사산 끝단에서 높은 압축 응력이 발생한다. 또한 BE는 너트 밑면에서의 수직 반력이 슬롯 반대쪽 모서리에 가중되어 매우 높은 응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너트 형상에 따른 TU, TB 및 BE 부근의 응력 분포를 비교함으로써 각 형상 파라미터가 체결 토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즉 나사산 TB에서의 응력 증가는 식(4)에서 ηT의 영향이 크고 TU 및 BE에서의 응력 증가는 ηB의 영향이 크다.
앞 절의 Fig. 5에 너트 형상 변화에 따른 체결 토크를 나타냈는데 그 차이가 크지 않아 형상 변수의 영향을 분석하는데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식(7)과 같이 단슬롯 너트의 체결 토크 TtS와 일반 너트의 토크 TtN의 차이를 TtN에 대한 상대적 비율 TI를 정의하고 그에 근거하여 너트 형상과 체결 토크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7) |
4.2 밑면 경사각이 체결 토크에 미치는 영향
Fig. 9은 Fig. 5(a)의 결과를 TI에 대해 재도시하고 θ=2°인 case 4의 TI를 추가하여 나타낸 것이다. 결과를 보면 case 4와 case 6의 TI 차이는 별로 없지만 θ=1°인 case 2의 TI는 다른 두 경우와 큰 차이를 보인다. 특히 볼트 체결력 FC가 5000N을 넘어서면서 case 4와 case 6의 TI가 계속 증가하는 것과 달리 case 2의 TI는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차이가 나타나는 것은 TU, TB 및 BE의 응력 상태가 Table 4에 정리한 바와 같이 다르기 때문이다. 즉, BE의 응력이 case 2는 FC가 7500N에 도달할 때까지 탄성 영역을 벗어나지 않지만 case 4와 case 6는 FC가 2500N일때 이미 소성 영역에 접어들어 FC가 증가하면서 소성 변형 이 점점 더 진행되며 그 결과로 식(4)의 ηB 및 둘째항의 비중이 커지면서 체결 토크가 큰 폭으로 상승하기 때문이다.
요약하면 단슬롯 너트에서 밑면 경사각이 체결 토크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며 경사각이 증가할 때 체결 토크도 상승한다. 따라서 큰 경사각은 단슬롯 너트의 풀림방지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반면에 경사각이 커지면 너트 나사산과 밑면에서의 소성 변형도 커지는데 풀림방지 관점에서 소성 변형을 허용해야하는 측면이 있으나 그 범위를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너트 나사산에서의 소성 변형은 단슬롯 너트의 재사용성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풀림방지 성능과의 종합적인 검토가 요구된다.
4.3 슬롯 형상이 체결 토크에 미치는 영향
단슬롯 너트의 형상 변수 DS와 HU가 체결 토크에 미치는 영향은 Fig. 5(b), (c)에서 살펴본 바와 θ에 비해 작다. 따라서 Fig. 10과 같이 θ와 DS및 HU의 영향을 복합적으로 분석하였다.
Fig. 10(a)는 DS와 θ의 변화에 대한 TI를 나타낸 것으로 HU가 주어진 상태에서 θ를 1°와 2°, DS를 4.7mm와 6.7mm로 변화시키면서 결과를 구했다. 예측한 바와 같이 θ가 동일한 case 1과 case 2에서 DS의 변화에 따른 TI의 차이는 크지 않으며 이는 case 3과 case 4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반면에 DS가 동일한 case 1과 case 3은 θ의 변화로 인하여 TI가 큰 폭으로 달라진다. 다만 case 2의 TI가 case 1보다 크고 case 4의 TI가 case 3보다 큰 것은 θ와 상관없이 DS가 커지면 TI가 상승함을 보여주는 것으로 너트 상단 TU에 작용하는 축방향 하중 ηAFC의 증가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한편 Fig. 10(b)는 HU와 θ의 변화에 대한 TI를 나타낸 것으로 DS가 주어진 상태에서 θ를 1°와 2°, HU를 2.2mm와 3.8mm로 변화시키면서 결과를 구했는데 HU의 영향보다는 θ의 영향이 훨씬 크다는 점에서는 Fig. 10(a)와 같은 경향을 보인다. 하지만 θ=2°인 경우 HU가 작아지면 TI가 소폭 상승하는 반면 θ=1°인 경우는 HU가 변해도 TI의 변화는 거의 없으며 이는 θ와 HU가 TI에 미치는 복합적인 영향이 Fig. 10(a)에 비해 더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θ=1°인 경우 HU가 작아지면 너트 상단의 변형은 증가하지만 너트 하단의 변형은 감소하여 서로 효과가 상쇄됨으로 인하여 HU가 TI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없다. 하지만 θ=2°로 증가하면 HU의 감소로 하단 변형이 줄어드는 것보다 θ의 증가로 하단 변형이 늘어나는 폭이 더 크기 때문에 TI가 상승하게 된다. Fig. 11은 이에 대한 추가적인 고찰로서 θ=1°, 2°, 3°일 때 각 θ에 대해 HU가 2.2mm와 3.8mm일 때의 구한 TI의 차이를 나타낸 것으로 θ가 커질수록 너트 하단의 변형이 TI의 상승 폭을 결정하는 주요 인자이며 HU보다 θ의 영향이 훨씬 더 크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5. 결 론
본 연구에서는 밑면 경사각이 있는 단슬롯 너트의 형상이 풀림방지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슬롯 깊이, 슬롯 상단 높이, 밑면 경사각을 형상 변수로 값을 변화시키면서 체결 과정에서 발생하는 토크, 너트 변형 및 응력 분포를 수치적으로 구했다. 그 결과 단슬롯 너트의 체결 토크는 일반 너트와 비교하여 동일한 볼트 체결력 기준으로 최대 20% 정도 상승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너트 형상 변수의 분석을 통해서 경사각이 체결 토크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크며 경사각이 클수록 체결 토크도 상승하고 너트의 성능도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한편 슬롯 깊이와 슬롯 상단 높이가 체결 토크에 미치는 영향은 경사각과 비교하여 크지 않은데 슬롯 깊이가 증가하면 체결 토크가 상승하는 반면에 상단 높이는 경사각에 따라 체결 토크가 부분적으로 상승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단슬롯 너트는 기존의 풀림방지용 너트와 비교하여 단순 구조와 체결의 편리성이라는 특징이 있으나 너트 나사산과 밑면에서의 마찰력 증대를 위해 국부적으로 과도한 응력이 발생할 수 있어 향후 재사용성과 내구성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또한 너트 재질이 본 연구에서의 알루미늄 합금과 다를 경우 탄소성 특성의 차이에 의해 풀림방지 성능의 개선 정도가 달라지게 된다. 드론을 비롯한 경량 풀림방지 너트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향후 다양한 경금속 재질의 너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Acknowledgments
본 연구는 산업부 광역협력권산업육성사업의 지원에 의해 수행되었음.
References
- Kakirde, A., Dravid, S., 2018, Study of Vibration Loosening of Bolted Joints – A Review, J. Advanced Research in Applied Sciences, 5:1 36-45.
- Liu, X., Noda, N. A., Sano, Y., Huang, Y. T., Takase, Y., 2018, 3D Finite Element Analysis of Tightenng Process of Bolt and Nut Connections with Pitch Difference, Material Science and Engineering, 372 1-7. [https://doi.org/10.1088/1757-899X/372/1/012006]
- Noda, N., Chen, X., Sano, Y., Wahab, M., Maruyama, H., Fujisawa, R., Takase, Y., 2016, Effect of Pitch Difference Between the Bolt-nut Connections upon the Anti-loosening Performance and Fatigue Life, Materials & Design, 96 476-489. [https://doi.org/10.1016/j.matdes.2016.01.128]
- Saha, S., Srimani, S., Hajra, S., Bhattacharya, A., Das, S., 2007, On the Anti-Loosening Property of Different Fasteners, NaCoMM, 2007:105 229-232.
- Cha, M. C., Kang, H. S., Kim, D. Y., Lee, S. Y., Jeong, H. J., Lee, E. S., 2017, Design and Performance Test of Locking Curved-Nut, Trans. Korean Soc. Mech. Eng. A., 41:3 199-204.
- Jiang., X. J., Hong, J., Shao, G. Q., Zhu, L. B., Zhu, Y. S., 2014, An Analytical Model for Rotation Stiffness and Deformation of an Antiloosening Nut under Locking Force, Int. J. Rotating Machinery, 1-8. [https://doi.org/10.1155/2014/410813]
- Panja, B., Das, S., 2017, Development of an Anti-loosening Fastener and Comparing its Performance with Different Other Threaded Fasteners, J. of Indian Academy of Science, 42 1793-1801. [https://doi.org/10.1007/s12046-017-0719-4]
- Cheong, K. Y., Park, T. W., Jung, S. P., Chung, W. S., 2010, Structure Optimization of a Nut for Prevention of Bolt Loosening, Trans. Korean Soc. Mech. Eng. A., 34:8 965-970. [https://doi.org/10.3795/KSME-A.2010.34.8.965]
- Lee, S. Y., Kang, H. S., Cha, M. C., Kim, D. Y., Park, Y. K., Jeong, H. J., Lee, E. S., 2018, A Study of Nut Loosening Inspection Using a Vision Machine Method, J. of The KSMTE, 27:1 35-40. [https://doi.org/10.7735/ksmte.2018.27.1.35]
- Li, T., 2011, Micromechanical Simulation for Fatigue Damage Incubation, Master Thesis Utah State University USA 20.
Ph.D. candidate in the Department of Mechanical Engineering, Chungbuk National University.His search interest is Vibration.
E-mail: gsk0221@daum.net
Manager in the Production Engineering Team, Viblock Company.His research interest is Vibration.
E-mail: bestseong@viblock.co.kr
General Manager in the Production Engineering Team, Viblock Company.His research interest is Vibration.
E-mail: jongworks@viblock.co.kr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Mechanical Engineering, Chungbuk National University.His research interest is Vibration.
E-mail: esshin@chungbuk.ac.kr